|
미국, 햄버거에 빵 없애
● 6개월 만에 체중 5~9㎏ 줄어
‘악마 탄수화물(Evil Carbohydrate)’. 인구의 67%가 과체중으로 집계되고 있는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다이어트법은 ‘저(低)탄수화물’ 식이요법이다. 단백질을 충분히 먹는 대신 밥·국수·빵 등 탄수화물 섭취를 하루 100g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다. 소모되지 않고 남는 탄수화물이 비만의 주범이라는 데서 나온 것이다. 최근 미국 ‘내과학연보’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과체중자 132명(이 중 83%가 당뇨병)을 대상으로 저탄수화물식과 저지방식을 비교한 결과, 저탄수화물식 6개월 후 체중이 5~9㎏ 줄었다. 반면 저지방식은 12개월 후 3~9㎏이 줄었다. 저탄수화물 식이가 단기간 체중감량에 효율적이라는 결론이다.
이에 따라 빵을 뺀 샌드위치나 햄버거 상품이 등장하고, 심지어는 포도 당분을 줄인 저탄수화물 와인, 저탄수화물 맥주, 청량음료까지 출시되고 있다.
|
그외에도 심장·관절 등에 이로운 불포화지방산인 오메가3 지방산 음식을 많이 섭취하는 ‘오메가 다이어트’도 인기다. 이에 닭가슴살과 고등어, 꽁치, 참치 등 등푸른 생선, 호두와 같은 견과류가 잘 팔린다.
독일, 저녁은 아예 굶어
● 오후 5시 이후 물·녹차만 마셔
독일에서 유행하고 있는 다이어트법은 ‘디너 캔슬링’이다. 말 그대로 ‘저녁 굶기’로, “저녁을 적에게나 줘라”라는 것이 모토다. ‘디너 캔슬링’의 원칙은 오후 5시 이후에 음식은 철저히 금하고 물, 녹차 등 음료만 허용한다는 것이다. 허용된 아침·점심 두 끼 식사도 음식 섭취량을 단계적으로 줄여나가고, 고지방식을 피한다. 반면 충분한 수분 섭취와 비타민과 무기질이 함유된 음식의 섭취량을 늘려줘야 한다. ‘디너 캔슬링’은 1주일 중 며칠만 해도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덴마크에서는 계란이 이용되고 있다. 덴마크 국립병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2주용 다이어트 식단으로, 탄수화물을 거의 먹지 않고 달걀과 야채, 자몽 등을 주로 먹는다. 모든 요리에 소금을 넣지 않고, 커피는 꼭 블랙으로 마시는 것도 특징이다.
그리스는 크레타 섬의 전통적 식습관을 따르는 ‘크레탄 다이어트’가 유행이다. 곡물·과일·허브 등에 아주 적은 양의 치즈와 동물성 지방을 곁들여 먹는 방식이다. 크레타섬 주민은 단 5%만 비만이며, 유럽에서 사망률이 가장 낮다. 그들 식사의 40%가 지방이지만 대부분 올리브 오일이다. 올리브유에는 불포화 지방산이 많아 비만을 덜 초래한다. 그리스인들은 올리브 오일과 각종 야채로 만든 샐러드, 케밥 등을 먹으며, 국수 요리인 파스타도 버터를 쓰지 않고 올리브오일을 쓴다.
일본, 벨소리 들어 살빼
● 고춧가루 다이어트 한때 유행
지난해 일본에선 ‘고춧가루 다이어트’가 유행하더니, 최근에는 산소흡입법이 등장했다. 산소흡입이 피로회복과 신진대사를 높여 다이어트에 좋다고 알려지면서 특히 여성들 사이에 인기다. 공기 중 산소 농도의 1.5배에 달하는 30% 산소를 정기적으로 들이마신다. 유산소 운동시 개인의 최적 심장 박동 수를 계산, 이를 바탕으로 한 핸드폰 벨소리를 제작, 걷거나 뛰면서 이 벨소리를 듣는 다이어트도 등장했다.
평소 쓰지 않는 근육을 사용하는 ‘근육 긴장 다이어트’도 인기다. 몸에는 느린 근육(지구력 담당)과 빠른 근육(순발력)이 있는데, 둘 중 덜 쓰는 부위에 살이 찐다는 논리다. 이에 배나 등 근육에 계속 힘을 줘 칼로리 소비를 늘리는 방식이다.
힘찬병원 내과 박혜영 과장은 “각 나라의 식습관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칼로리의 70%를 탄수화물로 섭취하는 우리나라 사람은 특히 흰 쌀밥이나 제분된 밀가루, 정제된 설탕 등의 섭취를 줄여야 한다”며 “이들은 혈당 수치를 급격히 올려 해로울 뿐더러, 체내 지방으로 재빨리 전환될 수 있다”고 말했다
출처-바디포라이프
'▶DIET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동을 너무 잘해서 따가운 눈총을 받는 여자가 있다 (0) | 2006.10.19 |
---|---|
국가의 위기!! "비만" (0) | 2006.10.12 |
다이어트 프로그래머 (0) | 2006.09.30 |
여자 나이 30대… 아름다운 ‘몸’가꾸기 (0) | 2006.09.26 |
옥주현의 다이어트식단 (0) | 2006.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