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을 산후 비만으로 이끄는 8개의 거짓말!
1. 우울증 때문에 운동할 기분이 안 나요
히포크라테스가 우울해하는 아버지를 위해 운동을 처방했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미국 심리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윌리엄 제임스는 운동을 하면 뇌에서 베타 엔도르핀이라고 하는 행복 호르몬이 분비돼 불안감과 우울증이 줄어든다고 밝힌 바 있다. 자신에게 물어보자. 살이 빠지지 않아 우울한가? 우울해서 움직이지 않아서 살이 찌는가?
2. 식사 후 배부른 상태에서 뱃살 운동을 하는데 살이 안 빠져요
식사 후 2시간까지는 아무리 운동을 해도 지방이 소모되기 어렵다. 지방을 축적하는 역할을 하는 인슐린이 식후 2시간까지 분비되기 때문이다. 지방을 연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글루카곤은 식후 2시간 이후 분비된다. 가장 좋은 운동시간은 공복일 때이지만 공복 상태에서 운동하기가 어렵다면 식후 적어도 2시간 정도 지나서 운동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단 모유 수유를 하는 산모는 공복 상태에서 운동하는 것은 좋지 않다.
3. 단기간에 살빼는 데는 원푸드 다이어트가 최고죠
원푸드 다이어트는 기초대사량을 낮추는 주범이다. 흔히 원푸드 다이어트를 위해 선택하는 바나나, 토마토, 두부를 살펴보자. 바나나는 탄수화물과 식이섬유가 풍부한 반면, 위와 장에 축적되어 변비와 대사 이상을 일으키고, 토마토는 칼로리가 낮고 비타민이 풍부하지만 기초 영양소인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이 부족하다. 또 두부는 단백질이풍부하고 칼로리도 낮지만 식이섬유가 부족해 변비가 생길 수 있다.
4. 내 살은 다 부기인 것 같아요
산후비만의 70%는 산욕기(출산 후 6주 이내)에 발생하며, 이 산욕기 비만의 90% 이상이 부기가 정상적으로 빠지지 않아서 생긴다. 따라서 산후비만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산욕기 부종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출산 후 3주 정도 지나면 산후부종은 거의 빠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산후 6주가 지나도 체중에 거의 변화가 없고 손발이 뿌듯한 느낌이 있다면 더이상 산후 부종이 아니다. 본격적으로 산후 다이어트에 돌입해야 한다.
5. 물만 마셔도 살이 찌는 체질이에요
어찌 물만으로 살이 찌겠는가. 단 물을 마시는 데도 최적의 타이밍이 있다. 식사 전후로 마시는 물은 함께 먹는 음식의 포도당 흡수율을 높이기 때문에 인슐린이 과잉 분비되고, 이 인슐린이 지방을 축적시키는 역할을 해서 문제가 된다. 따라서 식사 전 30분부터 식사 후 1시간 이내에는 가급적 물을 마시지 않는 것이 좋다.
6. 아이 때문에 허겁지겁 밥을 먹느라 돌아서면 배가 고파요
밥을 허겁지겁 먹으면 우리 몸은 시간이 부족하다는 스트레스를 받고 배에 가스가 차며 더부룩 해진다. 음식이 위에서 소화되지 못하고 발효되는 것이다. 단 10분이라도 편안한 자세로 반드시 식탁에 앉아서 먹자. 아무데서나 먹으면 아무거나 먹게 된다.
7. 팔다리는 말랐는데 아랫배만 볼록, 깡마른 체질이니 금방 빠지겠죠
비만은 뚱뚱한 체형보다 뱃살 빼기가 더 어렵다. 마른 비만의 경우 체지방량은 줄이고 근육량을 늘려야 하므로 체중 감소에 목표를 두지 말고 허리둘레를 줄이는 데 중점을 두는 것이 좋다. 유산소운동을 일주일에 5~6회, 30~40분 정도 할 것을 권한다.
8. 유산소운동을 먼저 하고 근력운동을 나중에 해요
근력운동을 먼저, 유산소운동을 나중에 하는 것이 좋다. 운동은 적어도 30분 이상 해야 비로소 지방 연소가 일어난다. 이때 근력운동을 먼저 하고 유산소운동을 하면 근력운동을 하는 동안 지방이외의 것에서 에너지를 쓰고, 그다음 유산소운동을 할 때 에너지를 지방에서 바로 쓸 수 있기 때문에 체지방 감소 효과를 제대로 볼 수 있다.
'2.출산후 다이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전퍼스널트레이닝BBMPT]몸이 따뜻해야 미인이 된다 (0) | 2013.09.13 |
---|---|
임선전 몸매로 돌아가싶어요..산후 비만 예방 방법 (0) | 2011.12.21 |
출산후 다이어트 언제가 좋은가?? 인터넷 발췌 (0) | 2011.12.21 |
출산후다이어트 성공기-출산후다이어트 어떻게 해야되나요? (0) | 2011.10.01 |
[대전퍼스널트레이너 BBMC-PT.com] 출산후 다이어트시 주위사항 6가지 (0) | 2011.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