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완벽해지려고 노력한다. 완벽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연습을 거듭해야 한다. 자신이 추구하는 몸매의
이상적인 기준을 정해놓으면 그것은 끊임없이 동기부여가 된다. 이런 식의 세뇌가 완벽주의자인가 아닌가에
따라 성공을 가져오기도 하고 파멸로 이끌기도 한다. 대다수는 현실적인 목표를 세우는 게 보통이다. 하지만
매사에 완벽함을 추구하는 사람들은 완벽주의자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기준을 너무 높게 세우거
나 자신에 대해 날카롭게 비판하는 경향이 있다.
기대치가 너무 높거나 자신의 능력을 자꾸 분석하려는 사람들을 흔히 완벽주의자라고 칭한다. 하지만 완벽주
의자와 성취욕이 높은 사람 사이에는 분명한 구분이 있다고 임상 심리학자이자 캐나다 밴쿠버의 브리티쉬 콜
럼비아대학교 심리학교수인 폴 L. 휴이트 박사는 말한다. 완벽주의의 주요특징은 자신이나 다른 사람들에 대
해 늘 완벽할 것을 요구하고 어떤 일을 해도 만족스러워 하지 않는다. " 고 그는 설명한다.
|
성취욕과 완벽주의
" 완벽주의자는 눈에 보이는 성과를 추구한다. 하지만 그들에게 만족스러운 가시적인 성과란 있을 수 없다. 늘 부족해 보이고 불만스럽고 흠잡을 구실이 생기기 마련이다. " 라고 휴이트 박사는 설명한다.
완벽주의자는 실제로 다른 사람들이 목표를 성취할 수 있도록 자극을 줄 수도 있다고 주장하는 연구도 있다. 하지만 휴이트 박사는 " 나와 내 동료들은 완벽주자를 개인적, 사회적, 건강, 일 등에서 문제를 일으킬 소지가 있는 사람으로 정의하고 있다. 개인적으로도 많은 문제를 일으키거나 성격파탄자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 그리고 이런 문제는 결국 불안, 우울, 무절제한 식욕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만일 어떤 '완벽한 몸'에 대한 기준을 정해둔 완벽주의자라면 그것은 단지 동기부여의 수단으로만 해석될 수 없다. 완벽주의자는 '진짜' 완벽을 기대한다. 자신뿐 아니라 다른 사람들에게까지도. 이런 사람들이 새겨들어야 할 명언이 있다. '이 세상에 완벽한 사람은 없다'는 것.
난 완벽주의자일까?
자기자신이나 다른 사람들에게서 아무런 결점이 없기를 바란다고 해서 완벽주의자라고 할 수는 없다. 하지만 자신에 대해 늘 불만스러운 사람, 스스로 부정적인 말을 하는 것은 자신감이나 활력에 영향을 주어 실제능력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부정적인 사고방식은 대인관계나, 신체적으로 혹은 정신건강적 측면 등 여러 가지 문제와 결부되어있다.
그렇다면 이런 문제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 아래에 나열된 사항을 읽어보고 이것이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고 있다면 전문의의 상담을 받아볼 것을 권한다.
- 한 번 실패하면 다시 일어나기가 어렵다.
- 자신의 실수를 스스로 용납하지 못한다.
- 다른 사람과 자신을 지나치게 비교한다.
- 자신에 대해 부정적인 사고방식이 머릿속에서 늘 떠나지 않는다
출처-건강과 근육
'1.퍼스널트레이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디피트니스를 널리 알리고 싶다. (0) | 2009.06.11 |
---|---|
Re:저희 누나가 연골이 찢어졋다는데요 (0) | 2009.06.05 |
삶을 변화시키는 트레이닝 10가지 수칙 (0) | 2009.02.25 |
흑인 턱걸이 (0) | 2009.02.13 |
턱걸이 25개하는 여자-_- (0) | 2009.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