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보충제 선택법
* 대부분의 사람들이 보충제를 구매율이 높으니깐, 남들이 좋다니깐, 수입품이니깐, 아니면 단지 싸다는 이유로 자신에게 맞는 제품인지, 이걸 왜 먹어야 하는지, 어떻게 먹어야 하는지를 살피지 않고, 먼저 구입 후에 판단하는 거 같습니다.
-> 보충제 구입시 구매율이 높으니깐, 남들이 좋다니깐, 수입품이니깐, 아니면 단지 싸다는 이유로 자신에게 맞는 제품인지, 이걸 왜 먹어야 하는지, 어떻게 먹어야 하는지를 살피지 않고, 먼저 구입 후에 판단하는 일이 없도록 하십시오.
* 보충제 구입시 주의사항 : (1) 목적에 맞는 보충제 (2) 품질 (3) 가격이나 양 (4) 판매지와 판매자의 신뢰도 및 기타
* 오픈마켓이나 해외직배송사이트에서는 보충제를 비롯한 기타의 제품에 대해 판매자보다 상대적으로 정보나 지식이 부족한 소비자의 소비심리를 악용하는 사례가 자주 발생하고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보충제는 국산이냐 수입이냐를 떠나서 제품 자체를 보고 평가하여야 합니다.
-> 보충제를 구입하시기 전에 구입처에서 자신에게 맞는 제품과 섭취방법 등을 상담 받으신 후 구입하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X에서 구입하시고 Y에서 정품여부를 확인해 달라고 하시거나 기타 질문하시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 가격이나 대중심리에 현혹되어 구입하지 마시고 항상 판매자와의 상담을 통해서 자신에게 맞는 제품을 구입하시기 바랍니다.
-> 정품을 안전하게 구입하시려면 정식판매점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대부분의 제품라벨에는 1회 섭취량을 기준으로한 영양정보를 기재하고 있습니다. 여기에서 소비자들은 많이 착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제품을 제대로 평가하고자 할 때는 영양정보를 반드시 100g당 수치로 변환하여 보시고 구입하십시오.
일부 판매지에서는 고의적으로 영문라벨을 한글로 변환하지 않아 소비자의 판단을 흐리고 있습니다.
● 보충제 라벨 읽는 법
Nutrition Fact [뉴트리션 팩트] : [M..M] Meta... Whey / 4.5kg / 근육증가 보충제 영양분석표
% Daily Value [데일리 밸류] : 일반인을 위한 FDA 권장 섭취량 중 몇 퍼센트나 포함되어 있는가
Serving Size [서빙 사이즈] : 한 번에 섭취하는 양, 제조사 권장 섭취량 -> 30.5g (아래의 영양소 수치들은 서빙 사이즈 30.5g 기준입니다.)
Servings Per Container [서빙스 퍼 컨테이너] : 한 번에 서빙 사이즈만큼 섭취할 때 총 먹을 수 있는 횟수 -> 149
Calories [칼로리] : 칼로리 -> 120.5
Fat [팻] : 지방 -> 2.5g
Sodium [소디움] : 소금 -> 50mg
Carbohydrate [카보하이드레이트] : 탄수화물 -> 3g
Vitamin [비타민, 바이타민] : 비타민
Iron [아이언] : 철분
Dietary Fiber [다이어터리 파이버] : 섬유소 -> 0.5
Sugars [슈거] : 설탕, 단순탄수화물 -> 2g
Protein [프로틴] : 단백질 -> 22g
Cholesterol [콜레스테롤] : 콜레스테롤 -> 25mg
● 제품에 함유된 각종 영양소 수치를 100g기준으로 변환하는 방법
-> 라벨을 보면 1회 섭취량 30.5g에 22g의 단백질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 이를 100g기준으로 변환하여 보면...
-> 22/30.5 × 100 = 72
* 나머지도 동일한 방법으로 변환하여 보면...
-> 100g 기준 : 열량 395kcal, 탄수화물 10g, 단백질 72g, 지방 8g
* 이제품으로 30g의 단백질을 섭취하고자 한다면...
-> 72/100 × ? = 30 또는 22/30.5 × ? = 30
-> 30/0.72 = 41.6......7g
* 대부분의 수입 제품들은 1회 섭취량이 단백질 섭취량을 기준으로 되어 있습니다.
근육증가(단백질제품) : 24g, 체중/근육증가 : 50g
● 근육증가 보충제 [분류기준 : 100g당 단백질 함량 70g ~ 100g] |
-> 대부분의 제품들은 1회 섭취량을 기준으로 영양정보가 기재되어 있으니 반드시 100g당 영양정보로 변환후 제품을 비교평가하시기 바랍니다. -> 이상적인 보충제 조합 : 단백질 + 글루타민 + BCAA + (비타민) + (칼슘) -> 단백질 함량이 높고, WPC(농축유청단백질/하급) < WPI(분리유청단백질/중급) < WPH(가수분해유청단백질/상급) 의 함유정도에 따라 제품을 비교평가 하십시오. -> 단백질 함량이 높을수록 근육이 증가하고, 탄수화물과 지방의 함량이 높을수록 지방이 증가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 체중/근육증가 보충제 [분류기준 : 100g당 단백질 함량 30g ~ 50g] |
-> 대부분의 제품들은 1회 섭취량을 기준으로 영양정보가 기재되어 있으니 반드시 100g당 영양정보로 변환후 제품을 비교평가하시기 바랍니다. -> 이상적인 보충제 조합 : 단백질 + 탄수화물 + 글루타민 + BCAA + (비타민) + (칼슘) -> 단백질 함량이 높고, WPC(농축유청단백질/하급) < WPI(분리유청단백질/중급) < WPH(가수분해유청단백질/상급) 의 함유정도에 따라 제품을 비교평가 하십시오. -> 단백질 함량이 높을수록 근육이 증가하고, 탄수화물과 지방의 함량이 높을수록 지방이 증가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 체중증가 보충제 [분류기준 : 100g당 단백질 함량 0g ~ 29g] |
-> 대부분의 제품들은 1회 섭취량을 기준으로 영양정보가 기재되어 있으니 반드시 100g당 영양정보로 변환후 제품을 비교평가하시기 바랍니다. ->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단백질 함량이 30g미만인 제품은 선택하지 않는 것이 좋음 -> 단백질 함량이 높을수록 근육이 증가하고, 탄수화물과 지방의 함량이 높을수록 지방이 증가한다고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제품을 섭취시 지방만으로 체중이 증가할 수 있어 섭취하는 만큼 건강과 몸매에 좋지 않음 -> 한마디로 돈낭비, 미숫가루를 섭취하는 것이 더 나을 것임 |
● 체중감량/근육증가 보충제 [분류기준 : 단백질(60g)과 식이섬유(25g)의 하루 권장 섭취량] |
-> 대부분의 제품들은 1회 섭취량을 기준으로 영양정보가 기재되어 있으니 반드시 100g당 영양정보로 변환후 제품을 비교평가하시기 바랍니다. -> 이상적인 보충제 조합 : 단백질 + 식이섬유 + 글루타민 + BCAA + (비타민) + (칼슘) -> 단백질과 식이섬유가 하루 권장 섭취량을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제품인가에 따라 제품을 비교평가 하십시오. -> 캡슐형태의 제품들은 각종 부작용과 함께 요요현상을 불러오는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선택하지 않는 것이 |
● 글루타민 보충제 : 면역력 강화, 근육분해(근육손실) 방지 |
● BCAA 보충제 : 아미노산보다 더 강력한 단백질합성(근육생성) 촉진 |
-> 대부분의 제품들은 1회 섭취량을 기준으로 영양정보가 기재되어 있으니 반드시 100g당 영양정보로 변환후 제품을 비교평가하시기 바랍니다. -> 글루타민은 고강도운동, 지구성운동, 체중감량시 일어날 수 있는 근육손실을 예방하고, 면역력을 좋게하여 피로회복과 단백질합성(근육생성)능력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BCAA는 운동시 지방의 연소율을 높여주며, 피로물질이 쌓이는 것을 막아주어 지구성운동에 도움이 됩니다. 또한 근육손실의 예방에도 도움이 되며, 일반적인 아미노산보다 더 강하게 단백질합성(근육생성)능력 향상시켜줍니다. 따라서 글루타민과 BCAA를 운동전-후로 함께 드시게 되면 운동능력과 신체회복능력이 더욱 더 향상됩니다. 운동인이 아니더라도 수험생, 강도높은 노동을 하는 분,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분, 투병중인 환자, 노인분들도 드시면 건강이나 일상생활을 함에 있어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출처-보디빌딩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
'1.퍼스널트레이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이밍의 중요성 (0) | 2008.01.08 |
---|---|
“보충제 살 돈으로 좋은 음식 먹어라” (0) | 2008.01.08 |
보디빌더의 텔미댄스 ㅋ (0) | 2008.01.03 |
보디빌더 텔미 댄스 (0) | 2008.01.03 |
빌더와 팔씨름 (0) | 2008.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