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가슴이 자꾸만 두근두근 거립니다. 밤을 새우거나 피곤한 날이면 증상이 며칠씩 지속되고, 엎드려 있으면 잠을 이루기 힘들 정도입니다. 대체 무엇 때문에 이런 증상이 나타나는 건가요? 특별한 질환이 있는 것은 아닌지 걱정입니다. A. 가슴 통증 및 두근거림을 유발하는 요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이때 증상이 시작된 시점, 양상, 증상의 정도, 지속시간, 악화 요인 및 완화 요인, 동반 증상, 가족력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주로 과로해서 피곤할 때 증상이 발생하며, 그 지속기간이 수 일 정도인 것을 감안할 때 우선 의심해봐야 할 질환들에 대해 몇 가지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장시간 한 자세로 작업을 하거나 특정 자세를 취할 때 악화되거나 반대로 완화되는 경우, 쑤시는 듯한 통증의 양상이 동반되는 경우, 흉벽을 눌렀을 때 압통이 있을 경우에는 신경 및 근골격계 질환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경추 추간판 탈출증, 대상포진에 의한 신경통 및 늑골간 근육 경련, 늑연골 및 흉골염, 어깨관절의 염증 등이 포함됩니다. 만약 위산의 역류, 속쓰림 및 흉부 불편감, 소화불량, 트림 등의 동반증상이 있거나 특정 약물 혹은 음식섭취와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위-식도역류질환, 소화성 궤양, 담낭 질환 등 소화기 계통의 질환에 대한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턱, 어깨, 목, 팔 등으로의 방사통(사방으로 퍼지는 저린 느낌)이나 흡연, 심혈관계 질환의 가족력, 고혈압 및 당뇨의 병력이 있을 경우에는 협심증을 비롯한 심혈관계 질환에 대한 검사를 받아보세요. 그 외에 부정맥 및 타 심장질환 등에서도 심장 두근거림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심전도 및 심초음파, 운동 부하검사 등의 검사가 원인 질환 확인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밖에 심한 피로감, 체중감소, 열감 등의 동반 증상이 있을 경우 갑상선기능항진증을 의심해 볼 수도 있습니다. 일단 휴식을 충분히 취하면서 영양 섭취를 골고루 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흡연, 알코올, 차, 커피 등 가슴 두근거림을 유발할 만한 음식이나 약물 복용력이 없는지 확인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그 이후에도 증상 호전이 없다면, 위에서 설명한 질환들을 참고해 가까운 병원을 통해 진료를 받는 것이 좋겠습니다. |
가슴이 두근두근…잠을 이룰 수가 없어요”
'1.퍼스널트레이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신이하는일을좋아하기 (0) | 2010.03.24 |
---|---|
근매스 증가의 복잡함을 말끔히 덜어 주는 6주 훈련 프로그램 (0) | 2010.03.23 |
그 사람의 진실은 (0) | 2010.03.15 |
'폼 나는 일' 찾지 말고 … (0) | 2010.03.15 |
6주 근매스 훈련 프로그램 (0) | 2010.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