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퍼스널트레이닝

각개격파(defeating one by one ) - 광배근

뉴로트레이너 강박사 2007. 12. 3. 17:43
각개격파(defeating one by one ) - 광배근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데달루스는 한 쌍의 날개를 아들의 어깨에 밀납으로 붙여주고,
나머지 한 쌍은 자신의 어깨에 달았다.
그리고 이들은 눈깜짝할 사이에 에게 해의 바다 위로 날아 올랐다.
그러나 어리석고,
새로 얻게 된 힘에 의기양양해진 이카루스는 마치 헬리오스(태양신)를 방문하기라도 하는 것처럼
하늘 높이 날라 올라 갔다.
그는 밀랍이 녹고 있다는 사실은 까맣게 잊고 크레테에 가까운 바다 속에 떨어져서 목숨을 잃었다.
그래서 그 바다는 그의 어리석음을 기리기 위하여 '이카리안 해'라고 불리워지게 되었다.


젊은 이카루스의 목숨을 앗아간 헬리오스의 선물인가?
아니면 끝임없이 새처럼 날고싶은 욕망의 상처인가?
우리에 등뒤엔 이카루스를 하늘로 비상하게 했던 날개만큼이나 큰 근육이
자릴잡고 있다.


광배근(廣背筋)다.


하부흉추(下部胸椎:제4 또는 제5)에서 요추 ·장골릉(腸骨稜:골반의 상연)을 기시부로 한다.
위쪽은 승모근(僧帽筋)에 약간 덮여 있으나 윗가장자리는 수평이고,
아래 가장자리는 비스듬히 외상방으로 달리며,
삼각형의 정점에 해당하는 정지건(停止腱)은 겨드랑이를 지나 상완골의 상부내측에 부착한다.
들어올린 상완을 내리거나 내후방으로 당기는 작용을 한다.

 

앞서말한 과잉 발달로인해 불균형을 초래하는 근육과 그렇치 않은 근육을 언급한적이 있다.
그중에 불균형을 초래하는 근육을(과일발달로 인해)들라면
우선"대퇴부"다.
톰 플랫츠의 대퇴부를 기역하는가?
역대 보디빌더중 가장 잘발달한 대퇴부를 지녔음에도
그것은 오히려 그 거대한 상체조차 외소해 보이게하는 결과를 초래햇다.
이것은 감점요인이다.


또 한군데를 들라면 대흉근이다.
거대한 대흉근은 모두에 바램이지만 자칫잘못(?)발달시키면
라인업에서 지나친 발달로인해
중력을 이기지못하고 아래로 쳐지게되고
어깨폭을 좁아 보이게하는 착시현상(?)을 일으킨다.


그러나 아이러니한건 광배근이다.
엄청난 사이즈에도 불구하고 내가보는 관점에선 과잉발달이 없다.
나오면 나올수록 좋다.


70년대 바디빌더들에 광배근은 자연스러운 흐름이었다.
더블바이샙스 포즈시 삼두근 장두에서 시작에서 완만한 사선을그리며
멋지게 타고 내리는듯한 형상은 완벽한 역삼각형을 만들어준다.
나도언제쯤 저럴 수 있을가? 하는
보는이로 하여금 막연한 동경을 하게만든다.

 

70년대의 보디빌더들이 역삼각형 모양에 광배근을 가졌다면
80년대 바디빌더들은 이 역삼각형에서 완곡을 그리기 시작한다.
세미르 밴너트에 등은 당시로선 충격이었다.
모세의 기적같은 기립근과 좌우로 부채살 문향으로 펼친 모습이란...!!
이런 그에 광배근이 없었다면 그에 전매특허포즈(전면에서 팔을 좌우로 좍펼친포즈)도 없었으리라.. !
그렇게 밴너트, 리하니를 거쳐

90년대에 우리는 새로운 광배근에 기준을 만난다.


도리안 예이츠.
완곡을 그리다못해 흘러 내린다.
이런 형태는 이젠 더이상 좌우로 펼쳐진 모습에는 만족하지못한 결과였다.
그것은 새로운기준, 새로운 두깨를 요구하는 모습이다.
투텁다 못해 흘러내리는광배근!
그래도 주위 근육에 모양을 해치지 안는다.
몸에 힘은 하체에서 나온다면,
상체에힘은 등(광배)에서 나오는거 같다.


이런 광배근과 가장친한 친구는 우습게도 그 조그만 이두근이다.
왜그리 멀리있는 녀석하고 친하게 지내는지는 알수없지만
이두근에 도움없이 광배근을 발달 시키기란 거의 불가능 할 것이다.
여기에도 전글에서 말한 순방향에 피드백이 작용한다.
이두가 좋으면 등도 좋아지고, 등이 좋아지면 이두도 좋아진다.
한지만 간과할수없는건 순방향이 있다면
그에 상응하는 역방향도 존재한다는걸 잊어서는 안된다.

 

역으로 등운동에 이두가 너무 개입될수도 있다는 뜻이다.
광배근 자체를 최대한 고립시키고 최고 수축을 만들기 위해선
어깨의 움직임을 빨리 터득해야한다.

상체를 키우는 키워드는 각각의 훈련에
어깨의 움직임을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야한다.

 

이런 광배근 발달을 위해선
우린 끝임없는 날개짖을 해야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