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스포츠지도사

스트레스 불안과 운동수행

뉴로트레이너 강박사 2014. 6. 11. 20:24

스포츠 심리학

 

00 대학교 대학원 김원식

 

5장. 스트레스 불안과 운동수행

 

 

 

 

1. 불안

정의 : 신체의 활성화와 각성에 수반되는 초조함, 걱정, 우려 등의 부정적 정서 상태

(1)상태불안 : 상황에 따라 변하는 일시적인 부정적 정서 상태

-인지적 상태불안 : 특정 순간을 걱정하거나 부정적인 생각을 하는 정도

-신체적 상태불안 :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지각된 부정적 생리적 반응

(2)특성불안 : 객관적 위협의 강도와 관계없이 상태불안 반응을 나타내는 개인의 동기나 후천적으로 학습된 행동 경향(spielberger, 1966).

* 불안과 유사개념 (p.103 표 5.1)

각성 : 깊은 수면에서 극도의 흥분에 이르는 연속선상에서 변화하는 일반적인 생리적, 심리적 활성화

 

2. 불안의 측정

 

1)생리적 척도 : 호흡, 순환기능이 빨라지고, 혈액은 내장이나 소화기 계통에서 사지나 몸통부분으로 재분배되어 환경의 변화에 대응.

검사 - 뇌전도 EEG, 심전도 EKG, 근전도 EMG, 피부저항 GSR, 발한율, 심박수, 협압, 안면근육 패턴, 뇌반구의 비대칭성 등

2)행동적 척도 : 지도자가 관찰, 선수 자신이 자신의 행동을 관찰해서 불안수준 알 수 있다.( P.105 표 5.2 불안의 행동적 증상 기록지 참고)

3)심리적 척도 : 심리적 방법에 의한 측정 도구.( p. 106, 단일차원, 다차원 측정도구)

-상태특성불안척도(STAI): 상태불안과 특성불안 동시에 측정.

-스포츠경쟁불안검사(SCAT): 경쟁특성불안 측정

*경쟁특성불안: 경쟁적인 스포츠상황을 위협적으로 지각하여 발생하는 우려나 긴장.

-경쟁상태불안검사(CSAI-2): Spielberger의 STAI를 Martens가 변형시켜 개발

*경쟁상태불안: 특정 경쟁 상황에서 일시적으로 느끼는 우려와 긴장감

 

3. 스트레스 과정 및 스트레스 요인

 

1)스트레스 과정 : 스포츠 심리학자들은 스트레스를 어떤 사건에 이르는 과정이라고 본다. McGrath 스트레스를 4단계로 구분해서 설명.

*스트레스: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을 때 중대한 결과가 나타나는 조건하에서 환경적 목표와 반응능력 사이의 상당한 불균형

제1단계 : 환경적 요구(신체적, 심리적)

제2단계 : 환경요구의 지각(신체적, 심리적 환경 요구를 개인이 어떻게 받아들이는지를 의미. 개인의 특성불안 수준은 환경의 요구를 지각하는데 큰 영향 미침.)

제3단계 : 스트레스 반응(상황의 지각에 대한 개인의 신체적, 심리적 반응)

제4단계 : 행동결과(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나타나는 실제 행동). 제4단계는 제1단계로 피드백되어 제1단계 환경적 요구에 영향 미침.

 

2)스트레스 요인

 

(1)상황적 요인 : 시합의 중요성, 시합의 불확실성

(2)개인적 요인 : 특성불안과 자아존중감

 

4. 불안과 운동수행의 관계

 

1)추동이론 : 각성과 수행의 관계를 직선적인 것으로 보고 각성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수행도 이에 비례해 증가한다는 이론(P.112, 그림 5.2)

2)역U자가설 : 적정수준이론이라고도 함. 각성이 너무 낮거나 높으면 수행에 방해가 되고 중간정도의 각성수준이 최고의 운동수행을 발휘한다는 이론(P.113 그림 5.3).

3)최적수행지역이론 : 불안과 운동수행 사이의 역U자 관계에 대한 대안으로 Yuri Hanin(1980, 1986)제안. 개개인의 선수가 최고의 수행을 발휘할 때 자신만의 고유한 불안수준이 있다는 이론.

* 역U가설과 다른 점: 첫째, 불안수준은 불안의 연속선상에서 항상 중앙이 아닐 수도 있으며 개인에 따라 큰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둘째, 최적의 상태불안수준은 한 점이라기 보다는 범위로 표시된다.

4)불안의 다차원이론: 불안이 인지적 차원과 신체적 차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차원이 수행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 인지불안은 운동 수행과 부정적인 관계로 인지불안수준이 높아질수록 운동수행은 더 나빠지게 된다. 반면에 신체불안은 적정수준까지는 수행 향상에 도움이 되지만, 특정 수준보다 높아지면 수행이 감소하게 되는 역U자 관계를 보인다. (p.116 그림 5.5)

5)카타스트로피이론: 인지불안수준이 낮을 때는 생리적 각성과 운동수행간에 역U자관계가 형성되나 인지불안 수준이 높을 때는 생리적 각성이 적정수준을 초과하면 수행의 급격한 추락 현상이 발생한다고 보는 이론. 신체불안과 운동 수행의 관계는 인지불안이 낮을 경우에만 역U자 형태를 이룬다.(p.118 그림 5.7)

6)전환이론: 자신의 각성수준의 인지적 해석에 따라 흥분 또는 불안으로 경험할 수있다는 이론.(p.120 그림 5.8)

7)Martens의 심리에너지 이론: 각성을 긍정적으로 해석하면 긍정적 심리에너지 발생, 부정적으로 해석하면 부정적 심리에너지 발생으로 각성과 운동수행 사이에 부정적인 관계 성립. 긍정적 심리에너지가 높고 부정적 심리에너지 낮을 때 최고의 경기력 발휘.(p.121 그림 5.9)

5. 각성이 운동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

1)주의 영역의 변화 : 높은 각성수준 주의영역 지나치게 좁고, 낮은 각성 수준은 주의영역 지나치게 넓다.

2)근 긴장의 변화 : 근육이 긴장되어 협응 동작에 지장을 받고 근육의 힘을 더 많이 사용한다.

 

6장. 강화, 처벌 그리고 코칭행동

 

1. 강화와 처벌

 

1) 강화: 어떤 원하는 행동이 나타난 다음에 자극을 제시해 줌으로써 미래에 그 반응이 나타날 확률을 높여주는 것.

(1)정적강화 : 어떤 반응이 빈도를 높여주기 위해서 제시되는 자극(예: 칭찬)

(2)부적강화 : 불쾌하거나 고통스런 자극을 제거시킴으로써 바람직한 반응의 확률을 높이는 것(예: 농구 자유투 10회 성공 - 인터벌 훈련 제외시켜 줌)

2)처벌: 어떤 행동이 나타날 확률을 감소시키는 자극.

(1)정적처벌 : 불쾌하거나 고통스런 자극 제시하여 어떤 행동의 빈도를 낮추는 것

(2)부적처벌 : 금지형. 제거되거나 박탈되는 자극으로 행동의 빈도를 낮추는 것(예: 규칙위반 선수 - 게임 출장 정지)

3)강화와 처벌의 조화: 강화는 긍정적인 측면, 처벌은 부정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다. 스포츠 지도에 대한 전문성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처벌 위주로 선수를 지도한다면 선수의 자존심에 손상을 입힐 뿐 성공적인 결과를 얻기 힘들다.

 

2. 긍정적 강화의 방법

 

1)효과적인 강화물 찾기: 긍정적 강화는 바람직한 동작을 하도록 격려하므로 보상의 의미가 있다. 동일한 대상에 대한 선수들의 민감도 다르므로 선수가 가장 바라는 강화물 확인 필요함. 사회형 강화물이 실제 스포츠 현장에서 가장 널리 사용된다.(P.134 표 6.2 강화물의 유형)

 

2)바람직한 행동 찾아 강화하기

 

-행동조성, 점진적 접근법: 학습해 나가는 동안 부분적인 완성도에 따라 강화를 해주는 방법(예: 골프 연습에서 어드레스 잘 되었다면 칭찬, 다음에 백스윙에 대해 칭찬, 다운스윙, 임팩트, 팔로스로의 전체 연결동작 순으로 칭찬)

-행동조성의 단계 p.135 참조

 

3)강화의 빈도와 시점

 

-빈도: 초보자(초기단계)에게 자주 강화, 숙련자(후기단계)에게 빈도를 낮춤

-시점: 바람직한 반응이 일어난 직후에 강화

4)결과지식 제공하기: 결과지식은 넓은 의미의 피드백이며 정보기능, 강화기능, 동기유발 기능을 함.

*결과지식: 동작을 수행한 후 지도자가 말해주는 정확성과 성공 여부에 관한 정보.

 

3. 행동수정의 효과

 

: 칭찬과 처벌을 체계적으로 이용하면 동작을 빨리 숙련시킬 수 있으며. 상점이나 출석상황을 게시판에 공고하는 방법을 통해 팀 분위기를 개선하고 출석률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1)바른 동작의 빈도 향상: 긍정적 강화가 처벌보다 바른 동작을 하는데 더 좋은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

2)팀 분위기 개선: 행동수정기법 적용. 상점과 감점 항목 정하여 개개인의 점수 게시판에 공고, 운동수행능력 향상과 동료에 대한 태도가 우호적으로 바뀜.

3)출석률 향상: 행동조성 기법 적용하여 점진적으로 목표행동(출석)에 점차 근접.

 

4. 선수처벌과 체벌

 

1)처벌의 부정적 영향

 

- 실패공포 유발: 실패 공포가 큰 선수는 실패 고통을 회피하려는 동기 강함. 안전 위주로 경기하며, 중도에 포기하는 경향.

- 기능 향상을 방해. 처벌에 대한 선수의 반항심 및 일시적 회피 방편으로 지도자의 눈치보게됨.

- 예측 가능성 낮음. ‘하지마라’라는 지시만할 뿐 대안을 제공하지 못한다.

* 체벌 :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약화시키기 위해서 선수에게 육체적 정신적 고통을 가하는 것

2)처벌 지침: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소멸시키기 위해서 불가피하게 처벌을 할 경우 지침이 필요.

* Weinberg와 Gould(1995)의 처벌 지침(p.142)

- 많은 학자들 처벌은 10~20%만 사용, 80~90% 칭찬과 긍정적인 방법 적용되어야 한다고 주장.

* 선행연구에 나타난 선수들의 처벌에 대한 체험

- 처벌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 가짐

- 반감, 선배에 의해서도 행해짐. 여자선수들도 동일 수준의 체벌 받음.

- 운동만족도 낮아짐. 수치심과 굴욕감 자극.

 

5. 코칭행동의 평가

 

1)코칭행동평가체계의 개발

- Smith 등(1979) 연습이나 시합 중에 코치가 보이는 행동을 직접 관찰하여 기록하는 도구인 코칭행동평가체계 개발

- 코칭행동평가체계의 코칭 행동은 반응행동과 자발행동으로 나누어짐.

2)코칭행동평가체계 행동의 정의

* 반응행동(선수, 팀의 행동에 대한 코치의 반응) 8가지

<바람직한 행동에 대해>

-긍정적 강화(칭찬, 격려)

-무강화(바람직한 행동에 대해 강화나 격려 주지 않는 것)

<실수에 대해>

-실수관련 격려

-실수관련 기술지도

-처벌

-처벌적 기술관련 기술지도(예: 호통치며 기술지도)

-실수 무시

<장난에 대해>

-통제유지(무질서한 행동에 대해 취하는 행동)

* 자발행동(자발적으로 취해진 행동) 4가지

<연습/시합 관련 행동>

-일반적 기술지도(종목과 관련된 기술과 전략에 대한 지도)

-일반적 격려(실수와 관계없이 미래지향적으로 주어지는 격려. 자 힘내자.. 몇 점 더 내보자!! 등)

-조직(행정적인 행동. 선수 교체. 포지션 재확인 등)

<연습/시합과 무관한 행동>

-일반적 의사소통(팀의 활동과 관계없는 선수와의 상호 작용. 가족 문제 상담 등)

3)코칭행동 평가(코칭행동평가체계 활동)

-코칭활동 수준: 전체 관찰시간에서 관찰된 전해 행동의 빈도. 무강화, 실수무시 제외

* 코칭활동 수준 = < 전체행동-(무강화+실수무시) >/ 전체 관찰시간(분)

-강화일관성: 긍정적 강화해주어야 할 때, 긍정적 강화를 얼마나 하는가의 정도

* 강화 일관성 = 긍정적 강화 / (긍정적 강화 + 무강화)

값이 1에 가까울수록 강화일관성 높다.

-실수에 대한 반응 = 실수관련 격려, 실수관련 기술지도, 처벌, 처벌적 실수관련 기술지도, 실수 무시 등이 실수에 대한 전체 반응에서 차지하는 비율

* 코칭행동평가체계 코칭행동 관찰기록 양식(p.149 그림 6.2)

 

6. 코칭행동과 선수의 반응

 

코칭행동은 선수가 팀 동료, 코치, 자신의 운동 종목에 대해 갖는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 운동 중 실수했을 때 지도자가 보여줘야하는 가장 좋은 행동은 선수를 격려하면서 기술과 관련된 교정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7. 코칭행동 바꾸기

 

재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코치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고, 코치 행동의 변화는 선수의 자아존중감과 운동재미에 크게 반영된다.